일정달력
공지사항
티커뉴스
OFF
뉴스홈 > News > 칼럼(Column) > 객원칼럼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행사안내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칼럼-섬유패션의 친환경 전환, 천연염색 동행돼야
등록날짜 [ 2022년11월15일 15시08분 ]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허북구 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국장]섬유패션 산업은 미세 플라스틱 배출량의 35%, 폐수 발생량의 20%,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10%를 차지한다. 
 
오염 배출이 많은 산업이기 때문에 다른 산업에 비해 지속 가능성과 탄소중립·친환경 요구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에 대한 목소리가 크고, 피해갈 수 없는 시대적 과제가 되자 섬유패션 산업 정책 입안과 산업계 내외부에서도 친환경 모색과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내용은 원사와 같은 원료, 가공 및 공급망을 포함한 많은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이 우선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천연염색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다.
 
그 이유는 환경보다는 여전히 경제적 기회 및 성장이 우선시 되고 있는 것과 함께 기존의 시스템 내에서만 답을 구하려는 해결방식으로 접근하기 때문이다. 
 
또한 합성염색 대비 천연염색의 친환경성에 관한 과학적 데이터 부족도 크게 작용하고 있는 듯 하다.
 
현재의 고도화된 섬유패션 산업 시스템에서 천연염색은 실종된지 1세기가 넘었다. 그 틀 안에서 천연염색 기술은 잊혀졌고, 천연염색 산업 전문가는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천연염색이 많이 알려져 있으나 고도로 산업화된 섬유패션 업계에서는 낯선 분야이고, 정보가 많지 않으며, 전문가가 없으니 지속 가능성과 탄소중립·친환경 정책 논의에서조차 천연염색은 편입되지 못하고 있다. 
 
규모화된 천연염색 산업체의 미 존재와 이력이 없으니 기업 또한 천연염색의 도입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기존의 성장 모델을 훼손시킬 수도 있겠다는 두려움을 가지기 쉽다. 
 
그런데 친환경에 대한 요구 목소리가 섬유패션산업에 모아지는 근본 원인은 합성염료에 있고, 천연염색은 기존의 합성염료 중심의 시스템 속으로 도입해도 경제적 기회와 성장을 방해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전환이 될 수 있을 만큼 기술개발이 되어 있다.
 
천연염색이 친환경적이라는 객관적인 자료도 많이 축적되어 있다. 독일 싱크스텝 서스테이너빌리티 솔루선스사(Thinkstep Sustainability Solutions Pvt Limited)의 인디고 염료의 환경 영향에 관한 보고서도 그중의 하나이다. 
 
이 보고서는 인도에 있는 AMA허벌연구소(AMA Herbal Laboratories Pvt. Ltd)의 위탁에 의한 것으로 천연 인디고인 인디고페라 틴토리아(Indigofera tinctoria)와 합성 인디고를 비교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염료 1kg 생산에 따른 환경 영향은 천연 인디고가 합성 인디고에 비해 10-10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면사 1kg을 염색하는 데는 천연 인디고가 합성 인디고에 비해 물 소요량이 0.4% 높았으나 산성화 가능성은 16%, 지구 온난화 가능성은 9%, 1차 에너지 수요는 8% 정도 낮게 나타났다. 
 
천연 인디고에서는 물 소요량이 조금 많았으나 물의 오염도를 평가하면 이것 또한 오히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인디고 염료 하나이나 기본적으로 합성염료와 합성섬유는 지하에 있는 석유로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지하의 탄소를 지상으로 끄집어 올려 이산화탄소를 증가시킨 것들이다. 
 
이에 비해 천연염료와 천연섬유는 작물이 탄소동화작용에 의해 탄소를 포집한 결과물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 대부분이 탄소중립이 된다.
 
본질적으로 친환경 산업인 천연염색의 우리 기술 수준은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선전하고 있듯이 선두 그룹에 있으므로 친환경 섬유패션 국제경쟁력 확보에 크게 도움이 될 정도이다. 
 
그런 만큼 친환경 섬유패션업의 정책 입안, 연구, 사업 현장 등 각 분야에서 천연염색은 꼭 필요하고, 활용성이 높으며, 동행해야 할 존재이다.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 okfashion.co.kr)


편집부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일자
(입금자명 + 입금일자 입력후 국민은행:760-01-0057-191/세계섬유신문사로 입금해 주세요)
[관련뉴스]
FITI시험연+전기차산업협 전기차 시험인증 업무협약 체결
칼럼-탄소 Zero 향한 발걸음에 적극 동참하자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행사안내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칼럼-제주도 전통 감물염색과 세계 5대 타닌계 염색 (2022-11-22 10:34:23)
칼럼-제주도 전통 감물염색에서 염색통 남도구리 (2022-11-11 13:3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