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달력
공지사항
티커뉴스
OFF
뉴스홈 > News > ▶Textile Life > 천연염색(Natural)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행사안내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기고-대만에서 서랑과 이를 이용한 천연염색
등록날짜 [ 2021년06월12일 08시56분 ]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타이난=야마나카 아야]대만 타이난 예술대학의 석사 과정에 재학하면서 염색 작품의 제작 및 염색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야마나카 아야(山中 彩)씨가 대만에서 사용되고 있는 염색 기술이나 소재에 대해 기고한 글을 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허북구 국장이 번역했다.

글쓴이 야마나카 아야(山中 彩, Aya Yamanaka) 씨는 2017년에 일본 가나자와미술공예대학 공예과 염직 전공을 했다. (편집자주)
 

무게 2.5kg되는 서랑의 근경, 생즙을 내 상온에서 천에 염색하기 전 서랑, 서랑의 절단면(위부터 시계방향)


■ 서랑과의 인연
서랑(薯榔, Dioscorea matsudai hayata) 대만, 일본 오키나와 외에 중국 남부, 베트남, 말레이시아, 동인도 등지에 분포하는 마과 식물로 약용식물이다. 서랑에 대해 일본 오키나와에서는 꾸루(クール, 紅露)또는 소메노이모(ソメノイモ)라 부르며 대만에서는 슈란(薯榔)이라고 부른다. 서랑을 자르면 쇠고기와 같은 붉은 색이 선명하다.

필자가 서랑 염색을 처음 해 본 것은 2019년 여름이다. 대학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대만 동부의 화롄현(花蓮県)에 있는 진숙연(陳淑燕) 선생님의 염색공방(光織屋-巴特虹岸手作坊)에서 1주일 정도 머물면서 워크숍에 참석했을 때이다.

눈앞에 바다가 보이는 공방에서 서랑 추출물로 천이나 실을 염색한 뒤 해변에서 진흙에 묻어서 매염을 했다. 서랑을 잘게 썬 뒤 믹서로 분쇄한 후 천으로 거른 생즙을 이용해서 붓으로 옷감에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 대만 원주민과 서랑
2020년 3월 대만 남부 핑둥현의 루카이족의 구호다(舊好茶) 마을 산꼭대기에 사는 원주민을 찾아 트레킹을 할 기회가 있었다.

거기서 만난 원주민의 이야기와 그들의 생활양식을 접하면서 대만 원주민의 직조와 염색을 알게 되면서 구체적으로 서랑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대만 원주민은 정부에서 16족의 원주민을 인정하고 있는데, 식물염색의 분포도를 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서랑(薯榔)이 사용되어 온 것을 알 수가 있다.

전통적인 방법은 끓여서 염색하는 것이 아니라 절구에 찧어서 추출된 생즙을 이용해서 주로 저마를 상온으로 염색했다.

염색한 실은 진흙에 묻어서 철 매염을 하고, 검은 색으로 되게 한다. 그 다음 쪽염색 실, 울금으로 염색한 노란 실을 이용해서 전통적인 민족의상을 짜는데 이용했다. 이 염색법은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서랑은 또 감물과 같이 타닌산과 아교 성분이 풍부하다. 섬유를 코팅해서 해수에 의한 부식 작용을 막기 때문에 예전부터 어업용 그물, 돛 등의 보강을 위해 염색에 이용했다. 일광견뢰도가 강하고, 오히려 햇빛의 자외선에 의해 발색하는 작용이 있다.


 

야마나카 아야씨가 서랑과 석회를 이용해 염색한 천,(위), 서랑의 남은 염액으로 감물 염색과 녹물을 입힌 천(아래)


■ 대만 부유층에서 서랑물의 이용
대만에서는 50-60년 전에 부유 계층의 한족 가정에서 남 ·여 주인은 몇 벌의 서랑 염색한 검정 옷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2월 구정 때 또는 친척을 만날 때 예복으로 사용했다. 서랑 염색한  이 검정색 옷은 고급 실크 천으로 만들어 졌으며, 안쪽은 황갈색을 띄며, 다른 쪽은 철매염으로 인해 검정색이었다.

■ 서랑을 염색하다
필자는 친구가 핑동에서 구입한 서랑을 이용해서 직물과 리넨을 염색했다. 이번 서랑 염색에서 매염제는 석회 희석액을 사용하면 색상과 질감이 천에 좋지 않을 것 같아서 상층액을 사용했다.

감물염색과의 궁합도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감물 본래의 갈색과 서랑의 적자색이 합쳐져 회갈색 같은 차분한 색감으로 변화했다. 서랑은 전통적인 염색 방법 외에 연구에 따라 현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야마나카 아야

■ 감사의 글
대만 서랑 염색 취재와 관련 ReASIA(https://reasia.org)에 감사를 드린다.(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 www.okfashion.co.kr)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 okfashion.co.kr)

편집부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일자
(입금자명 + 입금일자 입력후 국민은행:760-01-0057-191/세계섬유신문사로 입금해 주세요)
[관련뉴스]
기고-인기 맛집 같은 대만 목공예 공방 관찰기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행사안내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나주천연염색재단, 천연염색 상품공모전 접수 (2021-08-13 14:05:19)
기고-검색어로 보는 천연염색 트렌드 (2021-06-09 18:2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