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허북구 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국장]인터넷 검색어는 세간의 수요 요구를 나타내고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검색 상황을 조사할 수 있고, 이를 마케팅 시책의 검토와 기획, 광고 예산 배분 등에 활용할 수가 있고, 미래 예측과 대응책을 세울 수가 있다.
천연염색에서도 검색 경향을 살펴보면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고, 대응책을 마련할 수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Google 트렌드’를 활용해 검색어를 통한 천연염색 트렌드를 분석했다.
우선,‘natural dyeing’을 검색한 결과 2004-2005년에는 관심도가 높다가 이후 조금 낮아졌으나 시장 움직임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수요 안정형’이었다(사진 1).
‘Google 트렌드’에서 전 세계‘natural dyeing’을 검색한 결과 검색어 검색 빈도 변화.
천연염색에 관한 용어는 최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서 용어별 관심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natural dyeing’은 그림 1과 같이‘수요 안정형’이었으며, ‘plant dyeing’ 또한 ‘natural dyeing’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사진 2).
‘Google 트렌드’에서 전 세계‘botanical dyeing’을 검색한 결과 검색어 검색 빈도 변화.
이에 비해‘botanical dyeing’은 2014년을 전후해 검색 빈도가 증가해 최근까지 이어 오고 있었다. 염료의 종류에서 인디고 염색은‘수요 안정형’이었으며, 감물염색은 2007년 경에 ‘붐형’으로 피크를 나타냈고, 이후 2012년부터 계절별 변동은 있었으나 관심도는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3).
‘Google 트렌드’에서 전 세계‘감물 염색’을 검색한 결과 검색어 검색 빈도 변화.
염색 기법별로는 지난해에‘홀치기 염색’이 붐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올해도 붐의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었다(사진 4).
‘Google 트렌드’에서 전 세계‘홀치기 염색’을 검색한 결과 검색어 검색 빈도 변화.
‘natural dyeing’에 대한 지역별 관심도는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필리핀, 인도, 미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5).
‘Google 트렌드’에서 전 세계에서 최근 5년간‘natural dyeing’검색 빈도가 높은 국가.
이와 같이 검색어별 검색 빈도를 조사하면 유행, 관심 지역, 유행 주기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Google 트렌드’의 경우 검색 국가, 기간 등 세세한 것까지 지정해서 검색어 검색 빈도 등의 정보를 알 수 있고,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빅데이터를 유용하게 활용했으면 한다.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 www.okfashi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