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달력
공지사항
티커뉴스
OFF
뉴스홈 > News > 칼럼/사설 > 객원칼럼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행사안내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칼럼-서울시 패션사업 예산 누가 다 먹었나?
등록날짜 [ 2012년11월26일 00시00분 ]

[패션저널:전선아 편집주간] 지난 10월 28일 막을 내린 서울패션위크가 국내외 언론으로부터 뭇매를 맞으면서 패션인들은 물론, 비패션계에 종사하는 이들까지 이 행사의 정체성과 예산 집행에 대해 의구심을 품게 만들었다.

이같은 설왕설래가 벌어지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주관사의 잦은 시스템 변경으로 인한 전문성 부족과 예산 집행에 대한 정확한 공표가 없었기 때문이다.

특정인 몇몇이 주도해 이권사업이 되다시피한 서울패션위크는 주관사가 한국패션협회·서울패션센터(SBA 산하단체)·피플웍스 등으로 여러 차례 바뀌면서 정체성과 전문성이 크게 약화된 상태다. 이 때문에 그때그때 구미와 호감도에 따라 수십억원의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채 낭비한다는 지적과 함께 고질적인 전시 행사의 하나로 전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패션위크는 행사 출범 1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행사의 정체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다는 징후가 곳곳에서 나타난다. 널뛰기를 반복하고 있는 예산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느껴진다. 행사 주최 측은 항상 예산 타령을 반복하고 있다. 연륜이 오래되면 예산도 증액돼야 하는데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50억원 규모였던 예산이 올해 38억원으로 감소했고, 내년부터는 30억원으로 다시 축소된다고 한다.

수차례 바뀐 주관사도 피플웍스(피플웍스 2년 연속 계약)에서 서울디자인재단으로 또 바뀐다는 설이 나돌고 있다. 비패션 기획사들이 운영 주체를 맡으면서 업계의 목소리를 담지 못하는 행사로 전락한지 오래다.

흔히들 운영 주체를 변경한다고 하면 일반인들은 행사가 개선되고 더욱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지레짐작하곤 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서울패션위크에서 운영 주체가 바뀌면서 매번 봐야 했던 것이 떠오른다. 전시장에서 천막으로, 그리고 썰렁한 갤러리나 박물관을 힘들게 찾아다녀야 했다는 것 말이다.

이번 행사도 당초 컬렉션 장소로 경복궁, 경희궁 얘기가 나오더니 난데없이 전쟁기념관으로 결정됐다. 예산 때문이었다고 하는데 납득이 안된다. 투입된 전문 인력도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소리가 계속해서 들린다. 소수 정예 인원이라는 행사 관련 서울시 계약직들이 회사만 바꾸고 사무국이라는 이름 하에 헤쳐모이기를 수없이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하는 일은 행사의 묘미를 살려 참가사와 디자이너들에게 얼마나 큰 이익이 돌아가게 프로모션을 하는가가 아닌, 서울시 공무원들의 구미를 맞추는 일에만 혈안이 돼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서울시의 예산을 집행해 쓰는 행사이니 서울시가 만족할 만큼 매번 회의자료를 준비해 하루에도 수십 번씩 회의를 통해 브리핑해줘야 하고 이것이 공무원들의 구미에 맞아야 한다.

정작 행사 기간에는 서울시 VIP 공무원의 현장 방문에 맞춰 의전은 어떻게, 동선은 어떻게, 주차는 어떻게 등등 전혀 다른 일을 해야한다니 도무지 이 행사의 취지를 필자의 시각에서는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러니 행사가 끝나고 발표하는 방문자 수나 수주 거래량은 숫자 놀음에 불과할 뿐이다. 행사 기간 중 바이어나 디자이너에 대한 실력 평가나 작품성보다는 셀러브리티들(연예인)이 누가 왔는지, 그리고 무슨 옷을 입고 왔는지가 더 관심거리가 됐고, 이것을 놓고 디자이너들은 세력 과시로 잘못 사용하는 등 절름발이 왜곡된 행사로 전락하고 말았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시 예산을 쓰는 것이니 만큼 서울시민들이 다같이 즐기는 축제를 만들자”고 했다고 하는데 그 얘기는 시민 전체를 대표하는 시장의 입장에서 보면 맞는 말이다. 뉴욕의 패션위크도 파리의 기성복박람회나 오뜨꾸뛰르도 시민들의 축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시민들만 세금을 내는 것이 아니고 패션산업 종사자들도 서울시에 세금을 내며 서울시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패션업계도 이 축제의 수혜자가 돼야 하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한국의 서울패션위크와 서울컬렉션도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B2C 축제가 될 수는 있다. 그런데 문제의 발단은 B2B냐, B2C냐를 정확하게 짚어내지 못하는 주최측의 넌센스에 있지 않나 싶다.

이번 행사는 47회의 서울컬렉션과 12회의 제너레이션넥스트, 7회의 프리젠테이션 쇼 등 모두 67회의 디자이너 패션쇼가 진행됐는데, 패션쇼는 많았지만 정작 서울시민들이 얼마나 축제를 즐겼는지 알 수 없었고, 바이어가 얼마나 와서 디자이너들이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 언급이 전혀 없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특히 바이어들을 찾기가 어려웠다고 한다. 예산이 어떻게, 어디에 사용됐느냐는 말이 나오는 이유중 하나였다.

서울 시민들은 이런 패션 행사가 있었는지조차 모르는 이가 많았고 업계는 수십억원을 투입했다는 행사에 바이어는 없고 홍보도 제대로 안됐다며 불만이 높았던 것이다.

패션은 똑같은 빵을 찍어내는 제조 공장이 아니기 때문에 여기 저기서 산발적으로 치러지는 국지전식 패션쇼보다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춰 한 곳에서 정확히 코어 타게팅(Core Targetting)을 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 우리가 프랑스나 미국같은 패션환경을 따라가려면 아직은 한참 멀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파트너인 패션디자이너연합회와의 원활한 조율을 통해 참가 디자이너의 인원 수를 제한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형평의 원칙에 맞게 다양한 기회를 준다는 의견도 반영해야 하겠지만, 서울시의 패션사업 예산을 이렇게 비효율적인 분배방식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기자가 확인한 바로는 이번 서울패션위크에 참가한 디자이너들은 모델료와 연출료, 기타 비용 등을 합쳐 평균 2천만원 안팎의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전쟁기념관이 아닌 다른 곳에서 패션쇼를 개최한 10여명의 기성 디자이너는 모두 자기 비용을 투입했다고 한다. 자체 빌딩을 갖고 자본 여력이 있는 유명 디자이너들은 이런 방식으로 패션쇼를 진행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

디자이너들은 일정 부분 참가비를 내고 서울시는 책정된 예산에다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스폰서를 유치해 컬렉션 진행 비용 외에 홍보와 바이어 유치에 더 많은 자금을 편성해야 한다. 그런데 정부 행사에 기업 등 외부 스폰스 유치가 법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여서 현재로서는 서울시의 예산 증액만이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다. 어딜가든 자금(예산)이 문제다.

그렇다면 자금이 충분히 지원된다면 예산 타령은 하지 않을까? 이렇게 하더라도 컬렉션이 진정한 시민과 업계의 축제로 자리잡으려면 전문가의 효율적인 행사 컨설팅을 귀담아 듣고 효율적으로 예산을 분배해 적시적소에 투입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할 것이다.

결국 서울패션위크는 정체성 정립과 함께 행사 진행상의 고질적인 문제를 하루 빨리 풀어야 한다. 정체성을 정확히 하려면 무조건 운영 시스템을 선진국처럼 따라가려고 해서는 안되며 현재 한국의 패션계 상황을 정확히 짚어내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만 B2B or B2C가 아닌 B2B & B2C로 성공한 행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매번 서울패션위크가 끝난 뒤 몇몇 특정인들의 세력 싸움 얘기와 공무원들의 무지한 패션관, 행사 예산이 어디에 사용됐는지 알수 없다는 패션계 인사들의 푸념만 무성하게 나돌고 있다.(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세계섬유신문사) 

■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관련기사

서울패션위크, 2013 S/S 트렌드 제시 7일간 행사 마무리 (2012-10-29)
서울패션위크, 미리보는 화려한 봄 컬렉션 제시 (2012-10-27)
서울패션위크, 차별화 된 패션 판타지 선보여 (2012-10-27)
추계 서울패션위크, 전쟁기념관서 10월 22일 개최 (2012-09-10)
칼럼-서울패션위크, 현황과 과제 (2012-04-23)
칼럼-서울패션위크에 대한 두 가지 시선 (2012-03-23)
[서울패션위크] 주관사 (주)피플웍스프로모션 선정 (2012-02-21)
[2012 서울패션위크] 행사 주관사 선정 관심 집중 (2012-02-16)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 okfashion.co.kr)

전선아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일자
(입금자명 + 입금일자 입력후 국민은행:760-01-0057-191/세계섬유신문사로 입금해 주세요)
[관련뉴스]
정구호 총감독, 서울패션위크 재정비 시사
서울시, 15 서울패션위크 CFDK 공동주관 배제 논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행사안내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칼럼-어려울때 인재 육성이 최고의 경쟁력이다 (2013-01-07 00:00:00)
칼럼-섬유패션 관련 미래 유망 직업은? (2012-11-26 00:00:00)